산정특례 대상자 확인 조회 및 등록 신청하기

산정특례제도 진료비 부담 줄이기

중증질환, 희귀/중증난치질환을 가진 환자는 산정특례제도를 통해 진료비 부담을 줄일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질환의 경우 진료비 본인부담이 높기 때문에 반드시 산정특례제도를 통해 본인 부담률을 경감받는것이 좋다.

산정특례 대상자는 건강보험 본인부담률을 5~10% 정도만 부담하면 된다. 때문에 자신이 산정특례 대상자에 해당되는지 확인하고 이를 등록하는 방법을 알아둬야 한다.

산정특례 대상자 확인

산정 특례 대상자는 자가면역질환을 포함하는 중증질환을 가진 환자로, 암,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중증 화상, 중증 외상, 중증 치매, 결핵, 희귀중증난치질환 등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다양한 질환들이 포함된다.

이같은 질환에 대한 진단은 산정특례 등록기준에 따라 담당의사를 통해 확진을 받아야 대상자로 등록이 가능하다. 아래 산정특례 질병코드와 질환별 혜택을 통해 자세히 확인할 수 있다.

산정특례 질병코드 및 질환별 혜택

산정특례 대상 질환은 앞서 살펴본 것처럼 굉장히 광범위하다. 이같은 산정특례 대상 질환은 각각의 질병코드를 갖고 있으며, 질환 종류에 따라 산정특례 혜택 비율도 달라진다.

중증질환자 5%, 희귀난치성질환자 10% 외에도 외래진료 및 약국 요양급여비용총액에 대한 산정특례대상도 있으니 본인이 어디에 해당되는지 확인해볼 필요가 있다.

산정특례 대상 조회하기

일반적으로, 산정특례 대상자는 질환 및 질병에 따라 다음과 같은 지원 기간동안 산정특례 혜택을 받을 수 있다

  • 암, 유전성 및 희귀질환, 중증난치질환, 중증치매 : 5년
  • 중증 화상 : 1년
  •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중증외상 : 최대 30일(심장 이식의 경우 60일까지 연장 가능)
  • 결핵 : 치료기간 동안 지속(단 잠복결핵은 1년)
  • 난치성 신경 및 면역 질환 : 5년(이후 연장 가능)

산정 특례 등록 신청 방법

산정특례 대상자 등록 신청은 담당의사가 발행한 건강보험 산정특례 등록 신청서를 해당 병의원이나 건강보험공단에 제출하는 것으로 신청할 수 있다.

등록 신청 후 승인을 거쳐 산정특례 대상자로 등록이 되는데, 정상적으로 등록이 완료되면 등록신청서에 기재한 연락처로 알림톡을 받아볼 수 있다.

또한, 건강보험공단 홈페이나 모바일앱을 통해서 등록 내역을 조회할 수 있다. 국민건강공단 홈페이지 접속 후 검색창에 산정특례등록내역조회를 검색하면 쉽게 찾을 수 있다. 조회 결과 질환 구분, 산정특례 등록번호, 상병명, 적용시작일 및 종료일, 특정 기호등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건강보험공단 자사 방문을 통해서도 확인이 가능하다.

    다음 이전